카테고리 없음

증여세 면제 한도액 총정리 (2025년 기준)

동네대장 2025. 9. 5. 15:07
반응형

부모, 배우자, 친족 간에 재산을 증여할 때는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하지만 법에서 정한 일정 금액까지는 증여세 면제 한도액(증여재산공제)이 적용되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정리해드립니다.

세금 계산은 꼼꼼하게

📘 본문은 일반 세무 정보 제공용이며, 실제 증여세 신고·납부 여부는 반드시 세무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1. 증여세 면제 한도액 기본 규정

증여세는 10년 동안 동일인으로부터 증여받은 금액을 합산해 계산합니다. 따라서 10년 이내 증여 총액이 면제 한도액을 넘지 않으면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 기본 적용 기간: 10년
  • 공제 방식: 증여재산공제 한도 내 금액은 세금 면제
  • 초과 금액: 누진세율(10%~50%) 적용

2. 관계별 증여세 면제 한도액

2025년 현재 증여재산공제 한도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계 면제 한도액 비고
배우자 6억 원 10년간 합산
직계존속 (부모·조부모) 5천만 원 미성년자는 2천만 원
직계비속 (자녀 등) 5천만 원 -
기타 친족 (형제자매, 사촌 등) 1천만 원 6촌 혈족·4촌 인척 포함
그 외 공제 없음 -

3. 사례로 보는 증여세 계산

예시를 통해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쉽게 이해해보겠습니다.

  • 👨‍👩‍👧 부모 → 자녀 성인: 5천만 원까지 면제, 초과분 증여세 부과
  • 👶 부모 → 자녀 미성년자: 2천만 원까지 면제
  • 💍 배우자 간 증여: 6억 원까지 면제, 그 이상은 과세
  • 👫 형제·자매: 1천만 원까지 면제
⚠️ 주의: 증여세는 "10년간 합산" 규정이 있으므로, 여러 차례 나누어 증여해도 10년 내 총액이 한도를 넘으면 세금이 발생합니다.

4. 정리 및 결론

정리하면, 배우자 6억, 직계존속·비속 5천만(미성년자 2천만), 기타 친족 1천만이 증여세 면제 한도액입니다. 계획적으로 증여를 진행하면 합법적으로 세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실제 증여세 신고·계산은 세무사 상담을 통해 정확히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면책 안내: 본 글은 일반 세무 정보 제공 목적이며, 세무 전문가의 자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실제 증여세 신고 및 절세 전략은 반드시 세무사 상담 후 진행하세요.

 

반응형